분양컨설턴트가 필요하십니까?

효율적인 부동산광고가 필요하십니까?

그렇다면 분양마당과 함께 하세요!

뉴스

부동산뉴스

부동산뉴스

부동산은 세대전쟁 중, 가족간 ‘집값얘기’ 꺼내지도 마라

작성자
헤럴드경제
작성일
2019.03.08
“가족 간이라도 정치 얘기, 부동산 얘기는 꺼내는 게 아니었는데…”

직장인 김모(39) 씨는 얼마 전 집안 제사 때 경기도 분당에 사는 작은 아버지를 오랜만에 만났다가 감정만 상한 채 헤어졌다. “분당도 집값 많이 올랐죠?” 하고 꺼낸 말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다, 결국 부동산 정책 문제로 충돌했기 때문이다. ‘세금을 더 확실히 걷어야 집값이 잡힌다’는 김 씨의 말에 작은 아버지는 ‘집값 잡으려다 경제 잡는다’고 반박했다. 여기에다 ‘요즘 젊은 애들은 즐길 것 다 즐기면서 공산당 심보로 남이 공들여 일군 재산 빼앗아가려 하면 안된다’며 타박할 때는 크게 화가 날 수밖에 없었다.

20190308000483_0.jpg

요즘 이와 비슷한 경험을 했다는 사람들이 많다. 2030세대는 최근 1~2년 간 크게 오른 집값 때문에 내집마련 꿈은 더 아득해졌다. 집값이 더 많이 떨어져 월급만 모아도 쉽게 살 수 있어야 하는 게 정상이라고 생각한다. 반면 5060세대는 겨우 하나 마련해 놓은 집인데, 정부가 못 잡아 먹어서 난리라고 느낀다.

마땅한 노후대책도 없어 그나마 집한채로 삶을 꾸려나가야 하는 데 갈수록 세금부담이 커지는 것에 분노하고 있다.

삶의 조건이 다른 두 세대가 만나면 부딪힐 수밖에 없다. 가정에서, 직장에서, 온라인 상에서 각종 부동산 이슈를 놓고, 세대 간 전쟁이 벌어진다.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2017년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세대별 주택 소유 격차가 뚜렷하다. 60대와 70대는 유주택자의 비율이 각각 46.1%와 44.9%로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다. 반면, 연령이 낮아질수록 집을 가진 사람의 비율도 떨어진다. 50대 42.9%, 40대 39.9%, 30대 25.4% 순이다.

학원 강사 이모(31) 씨는 부동산 관련 유명 인터넷 커뮤니티에 매일 출석 도장을 찍을 정도로 열성적인 ‘부동산 폭락론자’다. ‘집값이 떨어져야만 한다’는 것이 그의 신념이다. 그는 청년층이 주택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기성세대가 문을 열어줘야 경제가 활력을 찾는데, 지금은 오히려 ‘시장 진입의 사다리를 걷어차고 있다’고 주장한다. ‘삼포세대(취업ㆍ결혼ㆍ출산을 포기한 세대)’ ‘욜로(YOLOㆍ인생 한번 살지 두번 사냐는 뜻)’ ‘인구절벽’ 등 현재 청년세대를 둘러싼 화두와 문제들이 모두 터무니없이 올라간 집값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PIR(소득 대비 주택가격)은 14.3이다. 중산층이 중간 수준의 집을 사려면 소득을 한푼도 안쓰고 14.3년을 모아야 한다는 얘기다. 지난해 1월까지만 해도 11.7년만 모으면 됐는데 1년새 2.6년 늘었다. 현실적으로 생활비로 소득의 절반가량을 쓴다면 30년을 모아야 집한채를 마련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서울 건국대 근처에서 공인중개소와 원룸을 운영하고 있는 이모(58) 씨의 생각은 다르다. 그는 “집 가진 사람이 모두 부자인 것 같지만, 젊은 시절 어렵게 한 채 장만해서 20~30년 눌러앉아 살다보니 엉겁결에 집값 오른 사람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 분들은 소득도 없어 갑자기 보유세 올리면 팔고 나가라는 말밖에 안된다”며 “20~30년동안 한 동네에 살았던 노인들이 세금 때문에 쫓겨나는 걸 외면해서 되겠나”고 반문했다.

실제 많은 노인들은 집이 전 재산인 경우가 상당수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국 노년층의 자산은 부동산이 78%인 반면, 금융자산은 22%에 불과했다. 미국인의 부동산 자산 비중이 35%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평균소비성향(가처분소득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67.2%로 미국(104%)이나 일본(88.6%)에 비해 크게 낮다. 노후 대비가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집이 유일한 보험인 탓이다.

김성훈 기자/paq@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