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컨설턴트가 필요하십니까?

효율적인 부동산광고가 필요하십니까?

그렇다면 분양마당과 함께 하세요!

뉴스

부동산뉴스

부동산뉴스

文 ‘가계부채 총량제’ 지나치면 서민만 잡을 수도

작성자
헤럴드경제
작성일
2017.05.11
문재인 대통령이 13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총량제’를 실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주택시장이 잔뜩 긴장하고 있다. 가계 대출 증가의 대부분을 주택담보대출이 차지하고 있는 만큼 새 정부가 돈 줄을 무리하게 조일 경우 주택시장이 위축될 것이란 우려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가계부채가 가처분 소득의 150%를 넘지 않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이를 위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여신 관리에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DSR은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다른 대출 원리금 상환부담까지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기존 총부채상환비율(DTI)보다 대출 문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20170511000179_0.jpg

문제는 이 과정에서 실수요자까지 대출길이 막히거나 높은 이자를 부담해야 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주택시장이 활황을 보이기 전인 2012년과 최고점을 찍은 2016년 사이 가처분 소득 대비 금융부채가 가장 크게 늘어난 자산계층은 중산층이라 할 수 있는 3분위다. 통계청에 따르면 3분위의 2012년 가처분 소득 대비 금융부채는 74%에서 2016년 98%로 높아졌다. 중산층이 주택 활황기에 내집 마련을 위해 대출을 적극 활용했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부채 절대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계층은 5분위로 무려 88조원에 달한다.

반면 1분위는 이 기간 오히려 가처분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떨어졌다. 증가액도 2조원에 불과하다. 이는 자산 상위 계층은 대출에 그다지 민감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현재 자산과 소득을 기준으로 대출을 조일 경우 상위 계층에는 별 영향이 없이 애꿎은 서민층만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팀장은 “현재도 대출을 받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부채 관리를 강화하면 서민들은 제2금융권 등 고금리로 갈 수밖에 없다”며 “자칫 서민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선이 끝난 뒤 본격적인 분양대전을 앞둔 건설사들도 속앓이를 하고 있다. 가뜩이나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 등으로 은행 앞에만 서면 작아지는 상황에서 눈치보기가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다. 특히 중견, 지역 기반 건설사들의 경우 철저히 ‘을’ 신세라고 한탄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지금도 잔금대출은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적용돼 은행이 보수적으로 대출 심사를 하면 건설사로서는 자금줄이 막힐 수밖에 없다”며 “부채 관리가 더 강화되면 상황은 더 악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kw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