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주택시장에 대한 우려가 ‘10월 대란설’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의 규제 강화에 따른 매수세 감소에 하반기 입주물량 부담까지 엎친 데 덮쳐서다.
정부는 위축지역 공급속도 조절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부양책에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20일 KB부동산에 따르면 7월 기준 지방 집값(-0.31%)은 전월 대비 하락폭이 확대되며 20개월 연속 내리막을 걸었다. 하락폭은 2008년 12월 이후 월간 기준 최대다. 8월 들어 지방 아파트는 첫째 주와 둘째 주 각각 0.06%, 0.05% 더 하락했다.
입주물량이 늘어나는 지역일수록 집값은 더 내려갔다. 특히 지역사업 경기가 위축된 경남(-0.71%)과 경북(-0.23%)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부진한 매매시장의 영향으로 전셋값(-0.19%)도 2016년 이후 20개월째 추락 중이다.
지방도시의 주력산업의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땅값도 떨어졌다. 특히 울산 동구는 조선ㆍ자동차 산업의 부진이 계속되면서 집값은 물론 땅값이 2016년 3월 이후 하락세가 이어졌다.
군산도 GM자동차 공장 폐쇄로 분위기가 어둡다. 울산 동구와 군산시의 최근 6개월간 토지가격 변동률은 각각 -1.04%, -0.69%였다.
부동산114가 집계한 10월과 11월 지방의 분양물량은 약 4만7500여 가구에 달한다.
입주예정물량 역시 3만7000여 가구다. 국토부가 발표한 6월 말 기준 지방의 미분양 주택은 5만2542가구다. 6개월 이내 계약을 완료한 초기분양률이 저조한 분위기 속에서 미분양이 적체될 경우 하락폭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상승세 전환 가능성은 낮다. 하반기 이후 전망 역시 밝지 않아서다. KB부동산 매매전망지수는 12개월 연속 ‘하락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전국 매매지수가 8ㆍ2대책 직후 하락 전환한 이후 조사 이래 최장 기간 하락세다. 기타지방의 매매전망지수는 74.5로 2013년 4월 조사 이래 최저치다. 지방 주택시장 부진 우려가 최고조에 달했다는 의미다.
일부 지자체들이 정부에 미분양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지만, 국토교통부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청약위축지역 기준을 우선으로 택지ㆍ공급 조절 역시 검토 중이라는 설명만 반복하고 있다.
이달 예정된 주거정책심의위원회에서 위축지정 지정과 미분양관리지역 제도 등의 도출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한 정부 관계자는 “도시재생 뉴딜정책과 연계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각 지자체와 논의 중인데 장기적으로 위축지역의 활성화 효과에 긍정적일 것”이라며 “위축지역을 선정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고, 공급물량 조절에도 한계가 있어 일단 모니터링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은 “지역 격차를 감안한 균형정책이 절실하다”며 “입주물량 증가에 따른 시장변화에 집중해 기반사업이 무너진 이후 침체 원인을 분석해 도시재생 등 다양한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정찬수 기자/and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