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컨설턴트가 필요하십니까?
효율적인 부동산광고가 필요하십니까?
그렇다면 분양마당과 함께 하세요!
매물판에 즐비한 ‘월세’…‘전세’가 사라지는 이유 있었다
서울시 송파구에서 가장 큰 아파트 단지인 9510가구 규모의 ‘헬리오시티’엔 현재(6월16일 기준) 392건의 월세가 나와 있다. 전세(348건)보다 월세 물건이 더 많다. 서초구에서 전월세 물건이 아예 없는 ‘반포주공1단지’를 제외하고, 가장 큰 3410가구 규모 ‘반포자이’에도 월세가 347건, 전세가 325건으로 중개업소에 월세 물건이 전세 보다 더 많다.요즘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아파트 단지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임대시장의 대세가 전세에서 월세로 바뀌는 상황이다. ‘전세의 월세화’, 혹은 ‘전세 소멸’ 현상이다.이미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5월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임대차계약 34만9073건(등기소와 주민센터에서 부여한 확정일자 기준) 중 월세 거래는 20만1621건으로 전체 임대차계약의 57.8%를 차지했다. 4월(50.1%)에 이어 두 달 연속 월세 거래가 전세 거래를 넘어섰다. 임대차시장에서 월세 비중은 올 1월 46%, 2...
2022.06.17 헤럴드경제
“이 금리로는 ‘영끌족’ 못 버텨요”…패닉셀 나오는 ‘노·도·강’
“시세대로 내놓은 물건 따로, 급매라고 낮춰 내놓은 물건을 따로 모아놨습니다. 어차피 급매물이 아니면 매수자가 보지도 않아요. 급매물은 쌓이고 있는데 팔리지를 않으니 이제 집주인 입장에서는 호가를 더 낮출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지난 15일 오후 서울 노원구 상계동의 한 공인 대표는 최근 몇 주 사이 새로 올라온 매물이 두 자릿수를 넘어선 지 오래라고 소개했다. 그는 “팔려고 나온 집주인들을 보면 대출 이자가 부담스러워 내놓은 젊은 투자자와 이 곳 물건을 정리하고 강남 아파트를 매수하려는 장년층이 대부분”이라며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건 분명한데 매물은 계속 쌓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으로 불리는 서울 북부 지역의 아파트 매물이 쌓이고 있다. 갭투자 지역으로 각광받으며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매수했던 집주인들이 최근 연이어 인상된 금리 부담에 출구를 찾고 있고, 다주택을 갖고 있는 집주인들 역시 ‘똘똘한 한 채’를 위해 강북 지역 아파트 정리...
2022.06.16 헤럴드경제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폭이 2배 이상 커졌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폭이 2배 이상 커졌다.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 등으로 매수수요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15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0% 하락했다. 전월(-0.04%)과 비교해 2배 이상 확대됐다.서울 아파트값은 4월(-0.01%)에 이어 5월에도 0.01% 떨어져 같은 수준의 낙폭을 유지했다. 반면 인천의 아파트값 하락폭은 -0.05%에서 -0.23%로, 경기도의 아파트값도 4월 -0.06%에서 5월 -0.11%로 내림폭이 커졌다.지난달 지방 아파트값도 부산은 보합을 기록했지만 신규 주택공급이 많은 대구는 0.78% 하락하면서 4월(-0.63%)보다 낙폭이 확대됐다.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도 4월 보합에서 지난달에는 0.05% 떨어지며 하락 전환됐다.수도권 주택종합(아파트·다세대·단독주택 통합) 매매가격도 한달 만에 하락전환헀다. 지난 4월 일시적으로 0.03% 상승했으나 5월에는 0.04%...
2022.06.15 디알람
외국인 ‘부동산 쇼핑’ 여전…지난달 외국인 임대인 수 역대 최고
집주인이 외국인인 임대차계약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증가했다. 주택시장이 관망세로 주춤한 사이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매입이 최근 다시 증가한 영향이다. 외국인의 일부 투기성 부동산 거래가 시장을 교란하는 요인이 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윤석열 정부가 국정과제로 제시한 외국인의 부동산 취득 규제 강화에 속도를 낼지 관심이 쏠린다.14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등기소와 주민센터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임대차계약 중 외국인이 집주인인 사례는 총 2359건으로 확인됐다. 이는 4월(1554건) 대비 51.8% 늘어난 것으로 2010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많다.월간 기준 임대인이 외국인인 계약이 2000건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초까지만 하더라도 월평균 1000건을 하회했으나 하반기부터 규모가 늘더니 올해 들어선 1000건 중반대를 기록해왔다.최근 전월세신고제 시행 등의 영향으로 확정일자 신고 건수 자체가 급격히 늘었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외국인 ...
2022.06.14 헤럴드경제
영화 속 부동산개발업자, 왜 다 조폭일까?
최근 개봉한 한국영화 〈뜨거운피〉(2022년작)와 〈강릉〉(2021년작)의 공통점은 조직폭력배가 싸움을 하는 이유가 개발사업의 이권 때문이라는 점이다. ‘뜨거운 피’는 부산, ‘강릉’은 제목 그대로 강릉에 리조트와 호텔 사업을 차지하기 위해 조직 간 실제 일어난 폭력사건을 모티브로 삼았다고 한다. 이들 영화에서 조직폭력배는 건설업자 명함을 들고 다닌다.수많은 영화에서 부동산개발업자들은 부정한 범죄자 집단처럼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영화 〈염력〉(2018년작)에서 태산건설 홍상무(정유미역)는 용역업체 사장을 고급 음식점에 불러 깡패를 시켜 두들겨 팬다. 용역업체 사장은 이를 계기로 상가 재개발 현장에서 조직폭력배를 동원해 무리한 철거를 진행하면서 상인들과 충돌한다.최근 2편까지 제작돼 인기를 끌고 있는 〈범죄도시〉(2017년작)에서도 건설업자는 중국에서 온 조직폭력배까지 동원해 세입자를 몰아내고 강제 철거를 진행한다.〈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2012년작)이나 〈부당거래〉(2...
2022.06.07 헤럴드경제
아파트보단 빌라, 전세보단 월세…팍팍한 서울살이
“이제 서울에서 6억원 이하 아파트는 찾아볼 수가 없어요. 있다 해도 정말 멀어서 회사 출근할 생각하면 한숨부터 나오는 지역에 있고요. 낡은 집이라 싹 다 고쳐서 들어가야 하고, 재건축이 될 지도 모르겠고 그냥 차라리 역세권 빌라를 사는게 나을것 같아요.”(30대 직장인 박 모씨)박 씨는 최근 서울에서 내 집 마련에 나섰다가 예상보다도 희박한 ‘살 만한 아파트’의 수에 놀랐다. 보금자리론이 가능한 6억원 이하의 5억5000만원~5억9000만원의 아파트를 집중적으로 물색했지만 “너무 멀고, 너무 좁고, 너무 낡은” 집 뿐이라 매수할 수가 없었다.서울에 살기 위해선 빌라를 매수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느낀 것은 박 씨 뿐만이 아닌듯 하다. 5일 한국부동산원의 주택 유형별 매매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의 전체 주택 매매 6120건 가운데 빌라(다세대·연립) 매매 건수는 3808건(62.2%)으로 나타났다. 작년에 세운 51.1%를 또 한번 경신했다. 특히 강북·강서구(83.1%)는 ...
2022.06.05 헤럴드경제
“코로나19 이후 한국 집값 상승률, 전세계 56개국 중 4위”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 이후 전 세계 주택가격이 크게 오른 가운데 한국의 2019년 4분기 이후 누적 집값 상승률이 세계 주요 56개국 가운데 네 번째로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1일 영국 부동산정보업체 나이트 프랭크의 ‘2021년 4분기 글로벌 주택가격 지수’(Global House Price Index)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한국의 주택가격은 1년 전보다 18.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조사 대상 주요 56개국 가운데 8번째로 높은 수치다.전체 56개국의 평균 집값 상승률은 10.3%이었다. 터키가 59.6%로 가장 많이 올랐고 ▷뉴질랜드 22.6% ▷체코 22.1% ▷슬로바키아 22.1% ▷호주 21.8% ▷네덜란드 20.3% ▷미국 18.8% 등의 순이었다. 같은 기간 말레이시아(-0.7%)와 몰타(-3.1%), 모로코(-6.3%) 등 3개국은 집값이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집값 상승률로는 한국이 14.2%로 두 단...
2022.06.02 헤럴드경제
4월 전국 분양·착공물량 모두 줄어…서울 미분양물량 2배↑
지난달 전국 주택 분양·착공 물량이 전월보다 모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분양 주택은 전국에서 소폭 감소한 가운데서도 서울만 한 달 새 2배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4월 전국의 공동주택 분양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49.5% 감소한 1만3620가구로 집계됐다.이 중 서울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9.5% 늘어난 678가구를 기록했지만, 수도권(4374가구)과 지방(9246가구)이 각각 이 기간 63.2%, 3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일반분양은 1만114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4.2% 감소했으며 임대주택은 1544가구로 251.7% 늘었다. 조합원분은 57.7% 줄어든 928가구로 파악됐다.4월 주택 착공 규모는 전국 기준 3만441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2.0% 감소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6955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16.9% 줄었고, 지방은 1만7462가구로 29.8% 감소했다. 아파트 착공 실적(2만5581가구)은 1년 전...
2022.05.31 헤럴드경제
“내 자식 한 채 사줘야지” …아파트보다 비싼 강남 하이엔드 오피스텔
강남 하이엔드 오피스텔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강남 등 서울 동남권 대형면적의 오피스텔 평균가격이 20억원을 넘어서며 웬만한 고급 아파트보다 비싼 가격을 자랑한다. 전문가들은 전반적인 주택시장 조정장세에 금리까지 오르는 만큼 투자에 주의를 요구했다.25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서울 동남권 전용면적 85㎡ 초과 오피스텔의 지난 4월 평균 매매가격이 21억5600만원을 기록했다. 집계를 시작한 2020년 7월 19억8200만원보다 8.7% 오른 가격이다.동남권 대형 오피스텔 가격은 서울 타지역들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난다. 같은 면적의 서울 오피스텔의 평균가격이 11억6400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비싸다. 또 도심권과 동북권도 각각 9억9400만원과 7억5200만원에 불과하며 동북권 오피스텔 가격보다는 3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해당 가격은 서울 아파트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4월 서울 동남권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18억3650만원으로...
2022.05.27 헤럴드경제
‘아파트는 너무 비싸’…1분기 서울 빌라 전월세 거래 역대 최다
올해 1분기(1~3월) 서울 빌라(연립·다세대) 전월세 거래량이 1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몇 년간 급격하게 치솟은 서울 주택 매매가격과 대출 규제, 기준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빌라 전월세 거래량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25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 빌라 전월세 거래량은 3만 1676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1분기 기준으로는 가장 높은 수치다.빌라 월세 거래량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서울 빌라의 월세 거래량은 1만 2247건으로 2011년 이후(1분기 기준) 가장 많은 거래량을 보였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빌라 전월세 거래량이 가장 많은 곳은 송파구다. 올해 1분기 송파구의 빌라 전월세 거래량은 4663건으로 확인됐다. 이어 강서구 2539건, 광진구 1881건, 강남구 1867건, 마포구 1846건...
2022.05.26 헤럴드경제